세금 3.3% 계산법, 알바몬 급여계산기 활용
소득이 발생하면 사업주는 소득을 지급할때 세금을 떼서 국가에 납부하도록 되어있습니다.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생이 일일이 세금을 내게 되면 행정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업주가 미리 급여에서 3.3%를 차감하고, 세금을 한번에 내는 것이 원천징수입니다.
원천징수되는 세금은 3.3% 혹은 8.41%가 됩니다. 일반적으로 4대보험이 되는 일반직장인들은 근로소득으로 분류되어 8.41%가 적용되고, 4대보험 미적용되는 알바나 프리랜서는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 3.3%가 적용됩니다.
그렇다면, 세금 3.3% 계산법은 어떻게 적용되는 것일까요?
원천징수, 즉 떼가는 세금 계산법은 [소득세+지방소득세]입니다. 소득세는 소득금액의 3%,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 를 합치면 차감되는 세금이 계산됩니다.
예를 들어, 세금 3.3% 계산 적용시 소득이 40,000,000원이라 가정해봅니다.
소득세 : 40,000,000 × 3% = 1,200,000
지방소득세 : 40,000,000 × 0.3% = 120,000
세금 3.3% 계산 후 원천징수액 : 1,320,000원(떼가는 세금)
40,000,000-1,320,000원=38,680,000원 예상 실수령액이 됩니다.
세금 환급(종합소득세 신고)
아르바이트생이나 프리랜서는 미리 세금을 차감하고 급여를 받았으므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다시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종합소득세 신고하여 확정된 세금이 원천징수 세금보다 적을 경우 그 차액을 돌려받게 됩니다.
일반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하여 세금 차액을 환급받게 됩니다.
알바몬 급여계산기 확인
세금 3.3% 계산법을 알바몬 급여계산기를 통해 쉽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알바몬 급여계산기 검색-> 사이트 접속하여 하단 우측에 최저임금 시급 8,350원이 보이는 박스에서 '자세히보기'를 클릭합니다. -> 세금 적용 선택-> 시급을 세금 3.3% 계산법 적용하여 월급으로 환산된 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